본문 바로가기

耽世 : 느끼다

[카를스루에/20150417-20150503] 국경도시에서의 짧은 상념

 

 

 

 아무래도 학생 신분이다보니 여행에 있어서 경비를 정말 절대적으로 고려하게 되는데, 이 경비에는 당연히 교통비와 숙박비가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한다. 따라서 기차표 역시 가장 저렴한 시간대의 저렴한 표, 주로 환불이나 교환이 불가능한 이른 아침 시간대의 표들을 많이 사게된다. 특히나 출발하는 기차의 경우는 더더욱.

 

 카를스루에를 굳이 코스에 넣은 이유는 별 거 없었다. 가장 저렴하고, 시간대가 다양하고, 파리에서 가깝다는 이유로 첫 장기여행의 시작을 카를스루에에서 열게 되었다. 원래는 뮌헨을 중심으로 해서 바이에른 북부의 뉘른베르크, 뷔르츠부르크, 밤베르크 같은 소도시들을 찬찬히 둘러보면서 마음의 여유를 가지고자 한 게 이번 여행의 목표였는데, 뮌헨까지 가는 직행 기차표가 생각외로 없던 데다가 일정이 살짝 바뀌게 되어서 결국 바덴-뷔르템베르크를 거쳐 바이에른으로 갔다 파리로 돌아오는 일정으로 확정이 되었다. 그리고 파리랑 가장 가까운 국경도시인 카를스루에가 관문이 된 것이다.

 

 

 

 

 카를스루에의 첫인상에 대해 표현하자면, ‘직선’이라는 한 단어를 꼽을 것이다. 물론 독일의 도시들이 대체적으로 프랑스보다 훨씬 더 딱딱하고 정돈된 느낌이기는 하다. 허나 카를스루에는 그 중에서도 유난히 더 딱딱하고 차분하게 나열된 바둑판 구조라는 인상이 강했다. 활기가 넘치는 프랑크푸르트나 쾰른같은 대도시에 비하면 작고 아담하지만, 의외로 사람들의 표정에선 생기가 넘친다. 조용하다 못해 심심하기까지 할 것 같은 도시인데 사람들은 뭐가 그리 좋은지 싱글벙글 미소를 짓고 있다. 의아한 느낌을 뒤로하고 짐을 풀기위해 호텔을 찾아나섰다. 원래는 걷는 것을 선호하지만 바둑판처럼 가지런하게 조성된 중앙역 앞의 풍경을 보자마자 왠지 트램을 타야 할 것만 같다는 느낌이 들어서 표를 끊었다. 그리고 나의 선택은 맞았다. 중앙역에서 내가 예약한 숙소까지 짐을 짊어지고 걸어가는 것은 할만한 짓은 아니었다. 허나 그때까지만 해도 나는 몰랐다. 이것은 어디까지나 시작일 뿐이라는 것을 말이다.

 

 

 

 

 

 독일을 몇번 안와봤지만 쓸데없이 자신감에 넘쳤던 것에는 다 이유가 있다. 여태까지 독일을 다니면서 헤멘 적이 없지는 않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길을 찾는 것은 프랑스에 비하면 훨씬 쉬웠다. 특히 파리에 비하면 독일의 정돈된 직선 길들과 너무나도 일정한 독일의 도시패턴은 그야말로 비교할 수 없이 쉬운 난이도의 미로였기에, 이번에도 틀림없이 별 문제 없을 것이라고 자신했었다. 심지어 카를스루에는 완벽하게 바둑판처럼 거리가 정비된 도시라면 더더욱이나 문제 없을 것이라고 멋대로 생각했었다. 허나 이건 완벽한 오산이었다. 호텔에서 가장 가까운 트램정거장에서 내린 후, 구글 지도를 보고 호텔을 향해 걷고 걷고 걷는데 호텔은 커녕 주택가만 가득 나오는 것이 아닌가. 게다가 주택가도 그냥 주택가가 아니었다. 내가 서울과 파리에서 항상 본 도시의 주택가가 아니라, 각 집마다 차고와 정원이 딸려있고 집 주변에는 한적한 숲들이 우거진 완연한 시골의 주택들이 끝없이 펼쳐져 있었다. 그리고 캐리어를 끌면서 길을 헤메고 있는 나를 흘끔 쳐다보며 중학생 정도로 되어보이는 아이들이 유유히 자전거 페달을 밟고 쌩하니 도로를 질주하고 있었다. 그 순간 나는 깨달았다. 내가 잡은 숙소는 도시가 아니라 한적한 독일의 시골에 더 가까운 곳에 위치하고 있었다는 것을. 이어서 아무리 도시라고는 해도 인구밀집도시가 많지 않은 독일이라는 나라의 특성상 중소도시는 거의 시골이나 다를 바 없는 대중교통 상황일 것이라는 것을 미리 예측하지 못한 나 자신의 우매함에 한숨이 나왔다. 그렇게 나는 한 나절 동안 계속 걷고 걷고 걸었다. 예쁜 정원이 딸린 독일인들의 주거지역 한복판을 걸었고, 정원 손질을 하는 독일 할머니 할아버지들과 인사를 했고, 결국에는 지나가던 우체부 아저씨의 도움으로 무사히 호텔에 도착할 수 있었다.

 

 호텔에 짐을 풀자마자 피로와 잠이 쏟아져서 잠시 눈을 붙였다. 아침 일찍 출발하는 기차를 탄 지라 피곤한 참이었는데, 여기에 숙소를 찾아 헤메느라 더해진 노곤함으로 인해 수마가 밀물처럼 밀려들어왔다. 그리고 나는 뭐라 할 틈도 없이 잠에 빠져들었다. 한 시간 정도 달콤한 잠을 자다 눈을 뜨자 어느 새 해가 쨍쨍한 오후가 되어 있었다. 오후 3시, 무엇을 시작하기에도, 그렇다고 아무것도 안 하기에도 참 애매한 시간이다. 나갈까말까 고민을 하다가 호텔 주변 지리도 익힐 겸 잠깐만 나갔다 오기로 했다.

 

 

 

 대개 독일의 도시들은 앞서 말한 것 처럼 일정한 패턴을 지닌다. 도시의 랜드마크인 궁전이나 광장을 중심으로 시장과 상점가가 펼쳐진 거리가 있고, 그 거리를 중심으로 사람들이 모인다. 카를스루에의 중심가는 옛 바덴 대공이자 이 도시를 설립한 카를 빌헬름 대공의 관저였던 궁전 부근의 광장과 상점가이다. 카를스루에라는 이름 자체가 ‘카를의 부채’를 의미하는데, 이는 카를 빌헬름 대공의 궁전을 중심으로 해서 방사선처럼 뻗어나가는 부채꼴 모양의 도시 구조에서 유래한 것이다. 18세기 초에 성립된 이 도시는 여타 독일의 도시들에 비하면 아주 젊은 도시라고 할 수 있다. 신도시를 건설하고자 한 카를 빌헬름 대공의 주도에 따라 철저하게 계획된 도시이고, 2차 세계대전으로 인해 많이 파괴되긴 했지만 부채꼴과 바둑판 식의 정돈 양식이 교차하는 도시의 구조 자체는 성립 당시와 큰 차이가 없다고 한다.

 

 

 

 

 

 도시의 심장이라고 할 수 있는 궁전은 생각보단 단순하고 규모가 작다. 멀리서보면 상당히 웅장하고 커 보이는 바로크 양식의 궁전이지만, 가까이 다가가서 보면 의외로 크지 않음을 쉽게 알 수 있다. 아니, 어쩌면 베르사유같은 프랑스의 큰 궁전에만 익숙해진 내 시각인지라 크지 않고 단조로운 디자인을 지닌 건축으로 느껴졌을 수도 있다. 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광장의 분수대 앞에 앉아서 회색의 하늘을 머리 위에 드리운 궁전의 모습을 보는 것만으로도 하루의 피로가 해소되는 기분이 들었다. 분명 그 옛날 사람들에게 이 궁전은 존재 자체만으로도 바덴 공작이라는 지배자의 위엄을 상징하는 곳이자 동경의 대상인 곳이었으리라. 하지만 시간이 흐르고 역사가 바뀜에 따라 바덴 공국 역시 과거의 뒤안길로 사라지고, 궁전은 도시의 중심이자 시민들의 쉼터로 바뀌었다. 현대 도시 카를스루에의 심장과 폐 역할을 동시에 갖춘 곳으로 재탄생한 것이다. 시간이 흐름에 따라 도시 역시 나이를 먹고 변화하지만, 어떠한 방식으로 변화하는 것이 옳은 방향인가에 대해 다시 한번 생각하게 되는 순간이다. 카를스루에는 철저하게 인공적으로 만들어졌다가 다시 처절하게 파괴된 도시이지만, 이 일련의 과정을 거쳐 재탄생되면서 인공과 녹색 자연이 융합된 특유의 모습으로 거듭났다. 도시가 인간과 문명의 일부로써 살아 숨쉬는 유기체라는 것을 생각하면 참 신기한 현상이 아닐 수 없다. 젊은 도시는 인간에게 무엇을 이야기 하고 싶었던 것일까. 자로 잰 듯 반듯한 도시 구획 ? 곳곳마다 자리한 녹지 ? 내가 조금 더 세상을 잘 이해할 수 있게 되었을 때 다시 오면 답을 알 수 있을까. 그런 의문을 가지며 을씨년스러운 초봄의 날씨를 두른 궁전을 뒤로하고 숙소로 돌아왔다. 길을 헤멘 여파가 커서 너무나도 피곤했던지라 죽은 사람처럼 잠에 빠져들었다.